Sensory physiology - 미각, 후각 편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6. 19. 23:44Sensory physiology - 미각, 후각 편

사람들이 생각하는 삶의 낙 중에 하나는 먹는 것이 아닐까. 심지어 우리의 3대 욕구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애초에 우리는 살아가기 위해서는 먹어야 한다. 우리가 일하는 이유도 다 먹고 살기 위해서 하는 것 아닌가! 우리가 그토록 맛집을 찾아 떠날만큼 맛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가 음식을 느끼는 것은 그 코를 찌르는 맛있는 냄새와 뒤통수를 탁 치고 들어가는 맛이었다. 그렇기에 이 맛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이 세치 혀와 코는 우리에게 너무도 고마운 존재이지만.. 단지 이 쾌락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닐터.  맛(Gustation)과 냄새(Olfacation)는 음색, 친족, 짝, 방향을 감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맛과 냄새는 상태 체크를 위한 checkpoint로서의 역할이다. 동물..

Endocrine system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6. 18. 20:59Endocrine system

위대한 변화는 작은 것들에서 시작된다.Lev Tolstoy   우리 몸을 흔히 똥 만드는 기계라고들 한다. 우리 몸은 똥을 생산하기 위해 어마무시한 공장인 것이다. 마치 포항제철소, 광양제철소와 비슷하다. 이들도 회사다. 회사는 각자의 분업화된 전문 부서가 존재하고 이들이 소통을 통해 다같이 같은 목표를 이루어나간다. 하지만 부서 사이에서 소통이 부족하다면 오해가 생기고, 결과물이 만들어지는 시간은 훨씬 오래걸리게 된다. 우리 생명체도 비슷하다. 소화를 하는 곳과 몸을 움직이는 곳 등등 여러 부서들이 존재하고 그들 사이에 협응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들도 소통이 필요할 것이다. 그런데 그들에게는 입이 없다. 호그와트의 부엉이도 없다. 그러면 무엇으로 그들은 서로에게 대화를 할 수 있었기에 우리 몸은 ..

[스압 주의]기말고사 특집. 기관 이름 암기 노트 - 의대생 체험 코너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6. 16. 15:45[스압 주의]기말고사 특집. 기관 이름 암기 노트 - 의대생 체험 코너

이 게시물은 긴 설명 필요없다. 모든 그림들을 눈으로 찰칵 찍어 대뇌 피질 전체에 골고루 저장해두면 되는거다. 해마야 미안해!!

Nervous systems 척수 시리즈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6. 16. 00:09Nervous systems 척수 시리즈

남자는 허리 척수의 구조척수는 기본적인 분절 조직을 유지하는 길고 가느다란 신경 조직의 원통형 구조로, 분절의 수는 종에 따라 다르다. 인간의 척수 신경(31쌍)Cervical(경추 신경) : 8쌍Thoracic(흉추 신경) : 12쌍Lumbar(요추 신경) : 5쌍Sacral(천추 신경) : 5쌍Coccygeal(미추 신경) : 1쌍척수의 확장- 척수는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요추 수준까지 확장- 두 번째 요추 수준 그 이하의 부분은 Cauda equina(말총)  1. White matter(백질)- 백질은 신경 섬유 다발(tracts)로 구성- 수초가 있는 신경 섬유로 이루어졌다.- Ascending tracts(상행로) : Afferent impulses(구심성 신호)를 뇌로 전달- Descend..

Nervous systems 뇌 시리즈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6. 15. 20:50Nervous systems 뇌 시리즈

모든 위대한 작품은 하나의 감각에서 시작된다.Edgar Degas 우리는 그 작은 세포조차 이해하지 못했다. 완벽하지 않은 존재를 우리는 완벽히 이해하려 하고 있다. 과연 먼 미래에는 어떨까?기말고사 기간이 다가왔다. 신경이 곤두섰다. 하찮은 것에도 신경이 쓰인다. 그 놈의 신경 신경 신경... 너는 무엇이길래 나를 이토록 암기의 늪에 빠져들게 하는가. 용어가 상당히 많다. 게시물 Nervous system 용어 모음집의 단어들을 모두 이해, 암기하고 올 것 Vertebrate Nervous System : Central System / 척추 동물의 신경계 - 중추신경계CNS sorts and processes input about the external/internal environmental stim..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6. 15. 01:16Neuron system, Sensory physiology 용어 모음집

A+은 가까운 곳에 있다. 이 단어들만 모조리 외우는 거다. Glial cell(Neuroglia)AstrocyteOligodendrocyteEpendymal cellMicrogliaEpilepsyCapillaryBrain interstitial fluidCerebrospinal fluidMeningesCrenium (skull)Blood-Brain barrierArachnoid membraneGlia limitansCerebral cortexArachnoid villusSuperior sagittal sinusFalx cerebriPeriosteumPeriosteal layerMeningeal layerSubdural space(potential space)Choroid plexusesSubarachn..

Homeostasis and Integration : The Foundations of Physiology (2)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3. 21. 20:16Homeostasis and Integration : The Foundations of Physiology (2)

항상성? 그래서 그거 어떻게 하는건데    우리는 조상님들이 늘 강조하셨듯 지조와 절개를 지키고 있었다. 체온, 혈당 등등... 각설하고 항상성은 앞서 서술하였듯 똑같은 수치를 유지하는게 아니다. 높아지면 낮추려하고, 낮아지면 높여서 일정 범주를 유지하게 한다.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세포가 자신의 일을 수행하려면 일을 제일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는데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세포는 대사를 할 수 없다. 이를 뇌가 인식하고 그에 맞게 환경을 설정해준다.   물론 이건 모두가 그러는 것은 아니다. 우리같은 인간은 날씨가 어떠하던 습도가 어떠하던 그런건 알 바 아니다. 내 몸은 늘 36.5 °C로 유지되어야 한다. 당뇨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식사 후 높아진 혈당을 적당한 수준으로 ..

Homeostasis and Integration : The Foundations of Physiology (1)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3. 20. 15:43Homeostasis and Integration : The Foundations of Physiology (1)

자유롭고 독립적인 삶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 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 모든 생명체의 가장 필수적인 조건이다. Claude Bernard 항상성(Homeostasis)을 띄는 이유는 개체가 고도화 되면서 세포 수가 많아짐에 따라 이 세포들이 수많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진화의 결과물일 것이다. 4 종류의 조직이 존재한다.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 근육조직(Muscular tissue) - 신경조직(Nervous tissue) 이 조직들이 기능을 하기 위해서 항상성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먼저 생각해봐야 할 것은 왜 세포가 많아졌는지이다. 조직을 이루지 않고 세포가 머리만 하게 커질 수는 없었을까? 그래서 우리는 부피와 표면적의 비율(S..

Introduction
BIOLOGY/Animal Physiology2024. 3. 20. 00:34Introduction

과학에서 완벽한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진리에 가까워질 순 있다. 과학에서도 완전한 참과 거짓은 없다. 계속 검증이 되는 과정을 거쳐서 이론에 가까워진다. 수업에서 하신 교수님의 말씀이 인상적이었다. 어쩌면 앞으로의 내 인생에 대한 조언 같기도 했다. 앞으로 직업을 위해서 내 자신을 계속 검증해나가야 하고 내 자신이 진정 되고 싶은 모습에 다가가야 할 것이다. 동물 생리학(Animal physiology)의 기본 : Introduction 생물학적 특성(Characteristics of living things) Organize themselves using energy and raw materials from their surroundings (metabolism) : 신진대사를 한다. Maintai..

image